본문 바로가기

[사출설계] IP 등급 이란?

by 했님

안녕하세요.

 

IP등급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요즘은 많이 사라졌지만,

몇 년 전만 해도 방수 기능이 탑재된 방수폰이라고 광고를 많이 했었죠.

요즘 제품들은 기본적으로 생활 방수는 되지만 말이죠.

(사실 방수 기능이 있다고는 하지만, 책임지지는 않는다는 문구도 함께 있었죠....쩝..)

그 방수폰이 소개되면서 IP67 혹은 IP68이라고

써져있는 글귀를 보신 분도 있으실 겁니다.

 

그렇다면 위와같이 있는 IP등급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IP등급이란,

전기통신, 전자, 전력 등 전기기술 관련 국제 표준화를 담당하는

국제 전기기술 위원회(IEC - International Electronical Commission)에서 발행하는 등급으로,

전자기기의 방수와 방진에 대해 국제 표준을 기준으로 등급을 매기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나라에서 지정한 기준으로 방수, 방진을

견디는지 테스트하고, 이것을 등급으로 표시하는 것 입니다.

 

그럼 그 시험 기준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 코드번호 (방진) IPX6

방진 등급

첫번째 코드는 방진 등급입니다.

0~4등급은 눈으로 보일 정도의 크기로 판단 가능합니다.

하지만 5~6등급은 챔버를 이용하여 먼지와 같은 사이즈의 분진을 사용하여 테스트하게 됩니다.

5~6등급은 같은 시험 조건에서 테스트를 합니다.

그렇다면 차이는 무엇일까요?

그 차이는 5등급은 외부에 형 양이 없을 만큼의 미세한 양은 허용이 되는 반면,

6등급은 완벽히 차단이 되어야만 한다는 점입니다.

 

두 번째 코드번호 (방수) IP6X

방수 등급

두번째 코드번호는 방수등급입니다.

4등급은 빗물이나 물이 튀는 수준의 시험이며,

5등급은 1분에 15L의 일반 호스 물 세기보다 조금 더 센 정도이며,

6등급은 1분에 100L로 소방호스의 세기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6등급 같은 경우는 수압으로 인해 외관이 파손될 우려가 있을 정도의 수압입니다.

(참고로 시험 시간은 3분입니다.)

 

4~6등급과 7~8등급간의 시험적 차이가 있습니다.

 4~6등급은 등급에 따라 정해진 수압으로 외관에 물을 뿌려 시험하는 반면,

7~8등급은 물에 담가 테스트를 합니다.

 

그래서 방진은 숫자가 높을수록 좋다고 할 수 있지만,

방수는 숫자가 높다고 모든 상황에서 방수가 된다고 생각 할 수가 없습니다.

그 이유는 6등급 같은 경우는 수압이 세기 때문에,

외관에 변형을 일으킬 수 있고, 그 변형으로 인해 방수가 안될 경우가 더러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로써 IP등급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다들 참고하시어 상황에 맞게 선택하셔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그럼 이만 Be hap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