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뉴했님입니다.
제가 사출 설계관련 일을 시작하면서
전기, 전자쪽 제품 설계를 하다보니 전기,전자의 대한 기초가 많이 부족해
이해가 필요해 차근차근 공부하며 하나씩 업로드 할까 생각 중입니다.
우선, 오늘의 주제는 릴레이입니다.
릴레이를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전자식 ON/OFF 스위치입니다.
일반적인 스위치는 '수동'인 반면,
릴레이는 '자동'으로 작동이 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자동으로 작동이 될까요?
정답은 릴레이 속에 있는 코일(전자석)에 있습니다.
코일(전자석)이란,
전기를 흘렸을 때 자성이 생기는 물체입니다.
단 전기가 사라지게 되면 자성도 같이 사라지게 되죠.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의 ON/OFF를 통해 릴레이를 동작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왜 릴레이를 사용하는 걸까요?
그 이유는 낮은 전압으로 높은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서 입니다.
이를 설명 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흔히 접 할 수있는 제어 매개체인
'아두이노'를 예로 들어 설명 드리겠습니다.
아두이노는 본래 5V의 전압을 제어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220V의 전구를 제어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위와 같은 릴레이를 사용하여 제어를 하게 됩니다.
제어신호 - Signal Number
입력전압 VCC - 220V
접지 GND - Ground
를 연결 합니다.
그리고 NC(Normal Open, 평상시 열림), NO(Normal Close,평상시 닫힘), COM(공통단자,GND)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제 생각을 해보시면 됩니다.
만약 내가 전기적인 신호를 주었을 때 불이 켜지는 현상을 예로 들겠습니다.
그렇다면 NO 단자를 전구의 (+) 연결해주시면되고, COM에 (-)를 연결해지면 됩니다.
그렇게 되면 아두이노로 신호를 주었을 때 단자가 NO 붙게 되며, 불이 켜지게 되는 갑니다.
항상 켜져있다가 신호를 주었을 때 끄게 되려면 (+)를 NC로 바꿔서 연결하시면 됩니다.
이처럼 작은 전압으로 큰 전압을 제어 할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릴레이의 역할 입니다.